부동산 칼럼

허가없이 개조된 주택, 위험인가 기회인가?

KLOVERPROPERTY
2025.08.21 00:09 36 0

본문

안녕하세요.

브리즈번 No1. 한인 부동산 클로버 입니다.

호주 부동산 시장에서 꿈에 그리던 투자용 주택을 발견하는 것은 가슴 설레는 일입니다.

특히 주변 시세보다 10만 불 이상 저렴하게 나온 매물을 보면, “이게 바로 횡재인가?” 하는 생각이 들기 마련이죠.

하지만 이 매력적인 가격 뒤에는 종종 숨겨진 비밀, 바로 불법 개조(Unauthorised Building Works)라는 함정이 도사리고 있습니다.

많은 투자자들이 불법 개조된 집의 위험성을 간과하거나, 단순히 “나중에 해결하면 되지”라고 생각하지만,

호주의 건축 및 부동산 법규는 생각보다 훨씬 엄격합니다.

불법 개조된 주택을 모르고 구매했다가 막대한 벌금이나 철거 명령을 받는다면,

기대했던 투자 수익은커녕 엄청난 손실을 감당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불법 개조된 주택을 어떻게 식별하고, 구매 시 어떤 위험에 직면하게 되는지,

그리고 현명한 투자 결정을 위해 어떤 준비와 전략이 필요한지 알려드리겠습니다.

불법 개조의 정의와 유형

호주에서 '불법 개조'란 카운슬(Council)의 정식 건축 허가(Building Approval) 없이

주택의 구조나 용도를 변경하거나 새로운 건축물을 추가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합니다.

단순히 내부 페인팅이나 바닥재 교체와 같은 경미한 공사는 허가가 필요 없지만,

주택의 안전, 구조, 그리고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공사는 반드시 카운슬의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가장 흔한 불법 개조의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용도 변경 (Change of Use)

가장 대표적인 사례는 차고(Garage)를 주거용 스튜디오나 방으로 개조하는 것입니다.

차고는 차량 주차를 위해 설계된 공간으로, 주택의 주거 면적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를 침실이나 거실로 바꾸려면 안전, 환기, 화재 방지 등 주거 공간에 대한 엄격한 규정을 충족해야 하며, 카운슬의 승인이 필수적입니다.

  • 불법 증축 (Unauthorised Extension)

주택에 방을 추가하거나, 베란다를 확장하거나, 썬룸(Sunroom)을 만드는 등 주택의 외형을 변경하는 행위는 모두 증축에 해당합니다.

허가받지 않은 증축은 구조적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어 붕괴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추가 구조물 설치

뒤뜰에 그랜니 플랫(Granny Flat), 창고(Shed), 또는 데크(Deck) 등을 설치할 때도 크기와 높이에 따라 카운슬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 구조 변경

지지벽(Load-bearing wall)을 허물거나, 창문의 크기를 변경하는 등 주택의 핵심 구조를 변경하는 행위는 안전에 직결되므로 반드시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불법 개조가 문제가 되는 이유

왜 카운슬은 사소해 보이는 개조에 대해 그토록 엄격한 규정을 적용할까요?

  • 안전 문제: 허가 없이 진행된 공사는 비전문가에 의해 진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화재, 전기 감전, 구조 붕괴 등의 심각한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법적 책임: 불법 개조된 공간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주택 소유주가 모든 법적 책임을 져야 합니다. 이는 임차인과의 분쟁, 그리고 더 나아가 막대한 손해배상 소송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건축 기준 미달: 허가받지 않은 공사는 채광, 환기, 방수, 단열 등 호주 건축법(Building Code of Australia)이 정한 최소한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부동산 가치 하락: 불법 개조된 부분은 부동산의 합법적인 가치로 인정받지 못합니다. 재판매 시 불법 개조 문제를 해결해야 하므로, 매수자가 꺼리거나 가격을 깎으려 할 것입니다.

불법 개조 여부 확인하는 방법

1 카운슬 기록 확인

카운슬은 모든 주택에 대한 공식적인 건축 기록을 보관하고 있습니다.

이 기록을 열람하는 것이 불법 개조 여부를 확인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 카운슬 서치(Council Search) 요청

부동산 구매를 담당하는 변호사(Conveyancer)를 통해 카운슬에 공식적으로 '서치'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해당 주택의 건축 허가 기록, 위반 통지서(Infringement Notices),

그리고 기타 카운슬에 기록된 모든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건축 도면(Building Plans) 비교

카운슬에 보관된 공식 건축 도면을 현재 주택의 구조와 꼼꼼히 비교해 보세요.

만약 도면에는 없던 방이나 구조물이 있다면, 이는 불법 개조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 통지서(Notice) 기록 확인

카운슬 서치 결과에 Show Cause Notice나 Demolition Order 와 같은 통지서 기록이 있다면,

해당 주택에 심각한 불법 개조 문제가 있었거나 현재 진행 중인 문제일 수 있습니다.

2 전문 빌딩 인스펙터(Building Inspector) 고용

부동산 매매 시 필수적으로 진행하는 빌딩 및 해충 검사(Building and Pest Inspection)를 통해 불법 개조의 흔적을 찾을 수 있습니다.

  • 인스펙터의 역할

전문 인스펙터는 합법성을 판단하는 법률 전문가는 아니지만,

건축 전문가로서 부실 공사의 흔적, 구조적 결함, 그리고 건축 규정 위반의 가능성을 보고서에 명시해 줍니다.

  • 보고서에서 찾아야 할 단서

인스펙션 보고서에 '건축법 위반 가능성(potential building code non-compliance)',

'부적절한 시공(substandard construction)',

'카운슬 허가 여부 확인 필요(council approval required)'와 같은 문구가 있다면,

불법 개조를 의심해봐야 합니다.

3 매도자 정보 공개 서류(Vendor’s Disclosure Statement) 검토

주(State)에 따라 매도자는 특정 정보를 공개해야 할 법적 의무가 있습니다.

NSW에서는 Section 10.7 Certificate, VIC에서는 Section 32 Statement라는 서류를 통해

해당 부동산의 카운슬 기록, 건축 허가 내역, 그리고 과거의 위반 사항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서류를 꼼꼼히 검토하는 것도 중요한 과정입니다.


불법 개조된 집의 위험

1 불법 개조 주택의 5가지 핵심 리스크

  • 법적 책임 및 벌금

불법 개조된 주택의 소유주가 되면, 모든 법적 책임이 구매자에게 전가됩니다.

카운슬로부터 Show Cause Notice를 받으면, 불법 구조물을 철거하거나 합법화하는 데 필요한 모든 비용과 시간을 감당해야 합니다.

최악의 경우, 막대한 벌금이 부과되거나 철거 명령이 내려질 수 있습니다.

  • 재정적 손실

불법 개조된 부분을 합법화하려면 건축가, 플래너(Town Planner) 고용, 카운슬 수수료,

그리고 필요한 공사 비용 등 수만 달러가 소요될 수 있습니다.

만약 합법화가 불가능하다면, 불법 구조물을 철거해야 합니다.

이 또한 상당한 비용이 발생하며, 철거 후 원상 복구 비용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불법 개조된 집은 매수자에게 위험 요인으로 작용하여, 시장 가치가 크게 떨어질 수 있습니다.

  • 대출 및 보험 문제

은행은 부동산의 담보 가치를 평가할 때 합법성 여부를 중요하게 고려합니다.

불법 개조된 부분이 있다면 대출이 거부되거나, 예상보다 낮은 금액으로 대출이 승인될 수 있습니다.

또한 불법 개조된 공간에서 화재나 사고가 발생했을 때, 보험사는 해당 부분에 대한 보상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

  • 임대차 문제

불법 개조된 공간(예: 차고를 개조한 스튜디오)을 임대하여 수익을 올릴 경우,

임차인이 이를 카운슬에 신고하면 임대 수익이 끊길 수 있습니다.

또한, 임차인과의 분쟁 발생 시 임대 계약의 법적 효력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 예상치 못한 공사

불법 개조된 부분을 합법화하기 위해 추가 공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방 설비를 보강하거나, 환기 시스템을 개선하는 등 예상치 못한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불법 개조된 집의 기회

모든 불법 개조가 치명적인 것은 아닙니다.

만약 주변 시세보다 10만 불 저렴한 가격이 '리스크 프리미엄'을 반영한 것이라면, 이를 활용하여 성공적인 투자를 이끌어낼 수도 있습니다.

  • 철저한 비용 분석

불법 개조 문제를 해결하는 데 드는 예상 비용(합법화 또는 철거 비용)을 정확하게 산출해야 합니다.

  • 전문가 자문 활용

건축가, 플래너, 그리고 변호사에게 자문을 구하여 해당 불법 개조가 합법화될 가능성이 있는지,

그리고 합법화가 가능하다면 어떤 절차와 비용이 소요될지 구체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 매매 계약서에 특수 조항 포함

변호사를 통해 매매 계약서에 구매자가 불법 개조 문제를 해결하는 데 드는 비용을 매도자가 분담한다는 내용이나,

구매 후 합법화가 불가능할 경우 계약을 취소할 수 있다는 등의 특수 조항을 추가하여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수리/개조 플랜 수립

만약 불법 개조된 부분이 합법화될 가능성이 높다면,

이를 정식으로 합법화하고 가치를 높일 수 있는 개조 플랜을 미리 수립하여 투자를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불법 개조 투자 예시

사례 1: 투자자 A (성공)

투자자 A는 시세보다 10만 불 저렴한 주택을 발견했습니다.

해당 주택은 차고가 허가 없이 스튜디오로 개조된 상태였습니다.

A는 즉시 변호사를 고용해 카운슬 기록을 확인하고, 건축가에게 합법화 가능성 및 예상 비용을 문의했습니다.

건축가는 '경미한 보강 공사와 서류 작업만으로 합법화가 가능하며, 예상 비용은 2만 불'이라고 조언했습니다.

A는 이 정보를 바탕으로 매도자에게 10만 불이 아닌 8만 불의 가격 할인을 요청했습니다.

매도자가 이를 받아들여 주택을 구매했고, A는 2만 불을 들여 스튜디오를 합법화한 후 월 임대 수익을 200불 추가로 올릴 수 있었습니다.

결국, A는 저렴한 가격에 주택을 매입하고, 가치 상승과 추가 임대 수익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았습니다.

사례 2: 투자자 B (실패)

투자자 B는 시세보다 10만 불 저렴한 매물을 발견하고, 불법 개조에 대한 에이전트의 '별문제 없을 것'이라는 말만 믿고 덜컥 계약했습니다.

주택 구매 후, 이웃의 신고로 인해 카운슬로부터 Demolition Order를 받게 되었습니다.

카운슬 조사 결과, 해당 스튜디오는 구조적 안정성이 심각하게 떨어져 합법화가 불가능하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결국 B는 수만 불의 철거 비용을 부담하고, 스튜디오를 원래의 차고 상태로 되돌려야 했습니다.

10만 불 저렴하게 구매했다고 생각했지만,

철거 비용과 법적 절차에 소요된 시간과 정신적 스트레스까지 더하면 오히려 손해를 본 셈이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

Q1: 불법 개조를 고의로 숨기고 집을 팔았다면 어떻게 되나요?

만약 매도자가 불법 개조 사실을 알면서도 숨기고 팔았다면, 구매자는 계약 해지 또는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매도자가 '몰랐다'고 주장하면 이를 증명하기가 매우 어려우므로, 사전에 철저히 조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Q2: 현재 불법 개조된 집에서 살고 있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카운슬의 통지서가 오기 전에 자발적으로 합법화 절차를 밟는 것이 좋습니다.

전문가와 상의하여 합법화 가능성을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공사를 진행하여 정식 승인을 받으세요.

Q3: 불법 개조된 공간을 임대하지 않고 공실로 두면 괜찮을까요?

임대하지 않아도 불법 개조된 구조물 자체가 카운슬의 규정 위반이므로, 누군가의 신고로 인해 언제든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이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습니다.


불법 개조된 주택은 확실히 매력적인 가격으로 투자자의 눈길을 끌지만, 그만큼 높은 리스크를 동반합니다. 
성공적인 투자는 운이 아니라 철저한 조사의 결과입니다.
저렴한 가격에 현혹되기 전에, 해당 주택의 불법 개조 여부를 꼼꼼히 확인하고, 
전문가의 조언을 통해 잠재적인 비용과 위험을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47fc99d9ac0b0e8b229fdfae6ebdfc7d_1755703134_8715.png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제목
KLOVERPROPERTY 2025.08.21 37
KLOVERPROPERTY 2025.08.17 110
KLOVERPROPERTY 2025.08.03 325
KLOVERPROPERTY 2025.07.30 357
KLOVERPROPERTY 2025.07.19 562
KLOVERPROPERTY 2025.07.01 858
KLOVERPROPERTY 2025.06.25 916
KLOVERPROPERTY 2025.06.22 775
KLOVERPROPERTY 2025.06.11 1,064
KLOVERPROPERTY 2025.06.07 889
KLOVERPROPERTY 2025.05.27 1,472
KLOVERPROPERTY 2025.05.25 1,374
KLOVERPROPERTY 2025.05.25 1,379
KLOVERPROPERTY 2025.05.25 1,356
KLOVERPROPERTY 2025.05.03 1,556
KLOVERPROPERTY 2025.04.22 1,431
KLOVERPROPERTY 2025.04.22 1,288
KLOVERPROPERTY 2025.04.10 1,746
KLOVERPROPERTY 2025.04.05 1,790
KLOVERPROPERTY 2025.03.28 1,593
KLOVERPROPERTY 2025.03.18 2,071
KLOVERPROPERTY 2025.03.12 1,584
KLOVERPROPERTY 2025.03.09 1,603
KLOVERPROPERTY 2025.02.24 1,610
KLOVERPROPERTY 2025.02.21 1,848
KLOVERPROPERTY 2025.02.13 2,528
KLOVERPROPERTY 2025.02.13 1,800
KLOVERPROPERTY 2025.02.02 2,242
KLOVERPROPERTY 2025.01.24 1,907
지니홈즈 2025.01.21 1,754
KLOVERPROPERTY 2025.01.21 1,665
KLOVERPROPERTY 2025.01.08 1,894
KLOVERPROPERTY 2025.01.03 1,812
KLOVERPROPERTY 2024.12.30 1,860
KLOVERPROPERTY 2024.12.27 2,100
KLOVERPROPERTY 2024.12.13 1,952
KLOVERPROPERTY 2024.12.10 2,177
KLOVERPROPERTY 2024.12.02 2,044
KLOVERPROPERTY 2024.11.19 2,150
KLOVERPROPERTY 2024.11.14 2,105